Friday, August 29, 2025

남한 일주 두째날 2: 백제문화단지 (Trip Around South Korea Day 2 - 2: Baekje Cultural Complex )

기록된 평점(최고 4*)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가격은 저희들이 방문 했을때의 가격입니다.
Review (highest 4/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s liking and the price shown is that of when we visited.


백제문화단지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455
관람시간: 9:00 - 17:00 (겨울, 18:00 여름 (월요일 휴관))
입장료: 6000원/어른, 3000원/어린이 (65 세 이상 무료)
제 1 주차장 유료, 제 2 주차장 무료

백제문화단지는 정부가 지정한 백제 문화권으로 대통령령에 의해 국책사업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1993년부터 2010년까지 백제의 옛 수도 지역인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일대에 조성된 백제 관련 테마파크 입니다. 롯데그룹의 민자투자를 받아 롯데부여리조트, 롯데아울렛이 안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시 이 단지 내에 위치해 있다.

추천하는 관람순서: 단지 입구 - 정양문, 사비궁 (전정)부터 능사(왕실 사찰, 오층목탑) - 고분공원 - 제향루 - 생활문화마을 - 위례성 (백제의 시작 성). 제향루는 언덕을 올라가야하는 수준이므로 고려해보세여.


Baekje Cultural Complex
455 Baekjemun-ro, Gyuam-myeon, Buyeo-gu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Hours: 9 A - 5 P in winter, 6 P in summer (closed on Mondays)
Admission: 6,000 won/adult, 3,000 won/child (free for ages 65 and older)
Parking lot 1 is paid, parking lot 2 is free.

From 1993 to 2010, Baekje-related theme park was built in Hapjeong-ri, Gyuam-myeon, Buyeo-gun, Chungcheongnam-do, the former capital of Baekje. The Baekje cultural zone w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was promoted as a national project by president’s directive. Lotte Buyeo Resort and Lotte Outlet Mall are located within the complex with private investment from Lotte Group, and the Korea Traditional Culture University is also located within the complex.

Recommended order of visit: Entrance to the complex - Jeongyangmun Gate, Sabigung Palace (jeonjeong) to Neungsa (royal temple, five-story wooden pagoda) - Ancient Tombs Park - Rites and Villages - Living Culture Village - Wiryeseong Fortress (the starting castle of Baekje). Please think twice before you attempt the Jehyangru since it requires climbing the hill.


단지 입구 - 정양문 (Main Gate - Jeongyangmun)

정양문은 백제문화단지의 정문이다.
Jeongyangmun is the main gate of Baekje Cultural Complex.



사비궁의 정전인 천정전

사비궁은 백제의 전성기 시절이었던 사비시대의 왕궁입니다.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왕궁 중 최초로 그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비궁에서 가장 큰 볼거리는 국가의 정사를 논하던 정전인 천정전이고 내부로 들어서면 왕과 왕비가 입던 의복 등도 진열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천정전은 국가의 큰 정사를 하늘에 고하여 결정했다는 천정대에서 이름을 따왔다.




Cheonjeongjeon, the main hall of Sabi Palace

Sabigung Palace is the royal palace of the Sabi period, the heyday of Baekje. It is said to be the first royal palac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to be recreated. The biggest attraction at Sabigung Palace is the Jeongjeon, where national affairs are discussed. When you enter Cheonjeongjeon, you can see the clothes worn by the king and queen on display. Cheonjeongjeon is named after Cheonjeongdae, where major state affairs of the country were reported to heaven for decision.


능사 (Neungsa Temple)

능사는 사비궁 우측에 있으며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백제 위덕왕 14년에 창건한 왕실 사찰이다. 백제문화단지 내 능사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절터(능산리사지·사적 제434호)에서 발굴된 유구를 토대로 복원한 것이다.

능사 안으로 들어서면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이 능사 오층목탑입니다. 국내에서 최초로 재현된 백제시대의 목탑이라고 하는데 그 높이가 자그마치 38m 입니다. 실제로 가까이서 보면 그 웅장함이 정말 대단함을 느끼게 되죠. 그리고 백제인의 건축미와 예술성에 다시 한번 감탄하게 된답니다. 목탑외에도 대웅전인 금당과 부속건물들도 하나같이 화려한 건축미를 뽐내고 있습니다.


To the right of Sabi Palace is Neungsa Temple. Neungsa Temple was founded in the 14th year of King Wideok of Baekje to pray for the repose of the soul of King Seongwang. Neungsa Temple in Baekje Cultural Complex was restored based on the remains excavated from the temple site in Neungsan-ri, Buyeo-eup, Buyeo-gun (Neungsan-ri Temple Site, Historic Site No. 434).

When you enter Neungsa Temple, the five-story wooden pagoda catches your attention. It is said to be the first wooden pagoda from the Baekje period recreated in Korea, and its height is 125 fts. When you see it up close, you have to admire the architectural beauty and artistry of the Baekje people. In addition to the wooden pagoda, Geumdang, Daengung-jeon of Neungsa Temple and auxiliary buildings also boast splendid architectural beauty.

자효당 (Jahyodang)

사찰에서 강당으로 사용하던 곳입니다.
It was used as an auditorium in the temple.


저 언덕 위의 집이 제향루이다.
The house on top of the hill is Jehyangru (Observatory) .



생활문화마을 (Living Culture Village)

생활문화마을은 백제 사비시대의 계층별 주거형태를 보여주는 마을로 귀족계급, 군관계급과 서민계급과 중류계급의 가옥들을 재현해 놓았다.



The Living Culture Village is a village that shows the residential styles of each class during the Baekje Sabi period. It recreated the houses belonging to the noble class, military officers, commoner, and middle class.

위례성 (Wiryeseong Fortress)

위례성은 백제 초기의 군성으로 백제의 시작을 알리는 곳입니다. 고구려에서 남하한 온조왕이 한성에 자리잡고 비류의 미추홀을 통합한 후 백제의 수도로 정한 곳입니다. 성안으로 들어서면 당시 백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데 위례성의 모든 건물들은 짚으로 엮은 건물들이라 마치 원시시대의 생활상을 보는 듯한 착각마저 들게 만드는 곳입니다 (사진이 없네요)

Wiryeseong Fortress is an early military camp of Baekje and marks the beginning of Baekje kingdom. King Onjo, who moved south from Goguryeo, settled in Hanseong and designated it as the capital of Baekje after unifying Biryu's Michuhol. When you enter the camp, you can get a glimpse of Baekje’s lifestyle at the time. All the buildings in Wiryeseong Fortress are made of straw, making you feel as if you are seeing life in primitive times. (Forgot to take pictures)


백제문화단지는 굉장히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고 많은 것들을 재현해 놓았지만 너무 빈 공간이 많아 허술한 것이 빈집을 보고 나온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평점 2*)

The Baekje Cultural Complex occupies a vast space and features numerous replicas, but there's so much empty space that it feels poorly organized, like visiting an empty house. (Review: 2*)


우리가 진안에 너무 늦게 도착한 것인지 거의 모든 식당들이 문을 닫았네요. 아직 영업 중인 식당 중 들린린 곳이 국태가든 이었습니다. 넓은 실내였는데 식당은 한산한 것이 조금 걱정이 되긴 했습니다.

We weren’t sure if we were too late for the dinner when we arrived in Jinan. Most of the restaurants were closed and we chose Guktae Garden to try among the restaurants that were still open .We were a little concerned since the place was deserted even though the interior was quite spacious.


국태가든 
전북 진안군 진안읍 외사양길 25

먹어보고 싶었던 더덕 백반은 2인 이상 주문이라 포기하고 김치찌게 (12,000원)와 비빔밥 (11,000 원)을 주문했습니다. 밑반찬도 깔끔했고 음식도 맛 있었습니다. (평점 3*)




Guktae Garden 
Jeonmuk Jinan-gun Jinan-eup Oesayang-gil 25

We gave up on the Deodeok Baekban since it required ordering for 2 or more and we wanted to try more varieties. We ordered Kimchi Jjigae (12,000 won) and Bibimbap (11,000 won). They were very good and the side dishes were also very tasty. (Review 3*)


Hotel:

진안 홍삼빌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외사양길 16-14

저녁 식사를 마치고 소화시킬 겸 산약초타운을 들렸습니다. 야경이 좋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역시 이곳을 방문했던 분들이 추천하는 이유를 알게된 정말 좋았던 야간 산책코스였어요. 호텔도 깨끗하고 편안하게 하룻밤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평점 4*)





After dinner, we visited the Sanyakcho Town. We heard that the night view was good, and it was a really nice trail for the night stroll. The hotel was also clean and we were able to spend the night comfortably. (Review 4*)

Note: We couldn't make the reservation without domestic bank account, but the staff at the hotel hold the room by exchanging emails. It was excellent customer service.


평점 (Review)

4* - 다시 방문할 것 (Will visit again)
3* - 부근에 있다면 (if in the area)
2* - 글쎄요 (probably not)
1* - 별로 (forget it)






Tuesday, August 26, 2025

남한 일주 두째날 1: 공산성공원과 무령왕릉/국립 공주 박물관 (Trip Around South Korea Day 2 - 1: Gongsanseong Park and King Muryeong's Tomb/National Gongju Museum)



기록된 평점(최고 4*)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가격은 저희들이 방문 했을때의 가격입니다.
Review (highest 4/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s liking and the price shown is that of when we visited.


아침은 호텔에서 제공하는 한식으로 때우고 오늘 하루의 일정을 시작합니다.


We start the second day with breakfast of Korean food provided by the hotel.


공산성공원
충남 공주시 산성동 2번지

공산성 공원은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백제 시대의 유적지이자 공원입니다. 공산성은 백제 웅진 도읍기의 왕성이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공원 내에는 성곽, 연못, 건물터 등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으며, 주변에는 금강과 백제 왕릉군인 무령왕릉과 왕릉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Gongsanseong Park
2, Sanseong-dong, Gongju-si, Chungcheongnam-do

Gongsanseong Park is a Baekje-era historic site and park located in Gongju-si, Chungcheongnam-do. Gongsanseong was the royal castle of Baekje Ungjin Capital Period and i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Various relics and artifacts such as fortress walls, ponds, and building sites remain within the park, and Geumgang and Baekje Royal Tombs, including King Muryeong’s Tomb and Royal Tomb Garden, are located nearby.


공북루

1603년(조선 선조 36년)에 건축한 공산성의 북문이다. 이 곳은 원래 망북루가 있던 터였으나, 금강에서 성 안으로 들어오는 문 위에 누각을 세운 것이다. 아래는 성으로 통하는 곳으로 사용하고, 위는 마루로 만들어 네 면을 개방하여 강가의 아름다운 경관을 즐기는 장소로 이용하였다.


This is the north gate of Gongsanseong, built in 1603 (Year 36 of King Seonjo). This place was originally the site of Mangbukru, but a pavilion was built over the gate leading into the fortress from Geumgang River. The lower part was used as a gate into the castle, and the upper part with wooden floor is open on four sides to enjoy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river.


공복루에서 본 공산정 (Gongsansjeong seen from Gongbukru)


진남루/Jinnamru

공산성 진남루(公山城 鎭南樓)는 공산성의 남문으로, 조선시대에는 삼남의 관문이었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8호로 지정되었다.


Gongsanseong Jinnamru is the southern gate of Gongsanseong Fortress in and was the gateway to the three provinces of south during the Joseon Dynasty. On May 17, 1984, it wa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y Material No. 48 of Chungcheongnam-do .

영은사

금강변에 있으며 만하루가 보이는 곳에 위치해 있는 영은사는 조선 세조 4년(1458년)에 창건된 사찰입니다


Yeongeunsa (Temple)

Yeongeunsa Temple, located on the banks of the Geumgang River and overlooking Manharu, was founded in the 4th year of King Sejo's reign (1458) in Joseon.


잠정냉장고

잠정 냉장고는 충청남도에 있는 잠업 농가에 누에 씨를 보급하기 위해 1915년에 만든 지하 저장시설 이다. 누에의 먹이인 뽕잎이 나는 5월까지 누에의 부활을 늦추기 위해 잠종 냉장고가 공산성에 만들어졌다.


Underground Refrigeration Cellar

The underground cellar was built in 1915 to refrigerate and store silkworm eggs to be used at silk farms in the Chungcheonnam-do area. This refrigerated space extended the incubation period of silkworm eggs from mid-April, when they typically hatch, until May when the mulberry leaves eaten by the worms normally sprout.


공주는 서울과 삼남을 있는 길목이었음을 상징하는 조각이 남문 성곽 길에 있습니다.


The sculpture on the south fortress road symbolizes that Gongju-si was a strategic point of the path connecting Seoul and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밤떡명가
공산성 매표소 건너편 (Across the street from Gongsansung Ticket Office)

공산성 구경을 끝내고 아직 점심 먹기는 좀 이른 시간인데 길 건너에 있는 밤떡명가라는 간판이 눈에 들어와 호기심에 끌려 들렸습니다. 밤절미는 공주 밤만 사용한다고하는데 한팩에 6개 9,000원이고 낱개는 팔지를 않네요. 인절미에 밤이 들어있는 색다른 맛이 손님들이 많은 이유인것 같네요. 밤절미는 나중에 먹어보기로하고 다른 땅들을 먹었는데 저희 입맛에 딱이더군요.




It was still a bit early for lunch after the tour of Gongsanseong Fortress, but the sign for Bamtteokmyeongga across the street got our curiosity. They say that they only use Gongju chestnuts for their chestnut jeolmi. A pack of 6 costs 9,000 won and they don't sell them by piece. It has a unique taste with chestnuts in it, and it explains the crowd in the store. We decided to eat the chestnut injeolmi later and tried other breads, and they were perfect for our taste.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충청남도 공주시 왕릉로 37
이용 시간: 09시 ~ 18시 (3월 - 10월, 17시 (11월 - 2월))
입장료: 어른 3,000원, 어린이 1,000원
주차요금: 무료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백제 웅진시기(475~538년)의 왕릉군으로서 무덤의 구조와 유물이 백제문화의 우수성과 고대 동아시아의 밀접한 문화교류를 증명합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지금은 무령왕릉을 비롯한 7기의 무덤만이 정비되어 있습니다. 1~5호분은 백제의 대표적 무덤 양식인 돌로 만든 굴식돌방무덤이고, 6호분과 무령왕릉은 당시 중국에서 널리 유행하던 무덤 양식인 벽돌무덤입니다.

무령왕릉은 백제 제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삼국시대 고분 중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왕릉입니다. 이곳에서만 무려 4,600여 점의 출토유 물이 발견되었는데 유물중 묘지석으로 인하여 무덤의 주인이 백제 25대왕 무령왕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묘지석외에도, 금제관식, 도자기, 유리구슬이 백제문화의 우수성과 폭넓은 대외교류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Tomb of King Muryeong and Royal Tombs, Gongju
37 Wangneung-ro, Gongju-si, Chungcheongnam-do
Hours: 9 A - 6 P (Mar - Oct, 5 P (Nov - Feb))
Admission: $2.20/adult, $.72/child
Parking: Free

The tombs of King Muryeong and the Royal Tomb Garden of Gongju are the group of tombs for royals from the Baekje Ungjin period (475-538). The tomb structures and relics are invaluable to recognize the excellence of Baekje culture and the close cultural exchanges with ancient East Asia. Currently, only seven tombs including King Muryeong’s tomb, have been maintained. The chambers of Tombs 1-5 are made of stone, a representative tomb style of Baekje, while Tomb 6 and King Muryeong’s tomb have brick chambers, a style that was popular in China at the time.

The tomb of King Muryeong, the 25th king of Baekje, and his queen is the only royal tomb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whose owner can be identified. More than 4,600 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here alone, and the epitaph among the relics indicates that the owner of the tomb is King Muryeong. In addition to the epitaph, gold crowns, ceramics, and glass beads prove the excellence of Baekje culture and its extensive foreign exchanges.

무령왕릉내부

고분처럼 되어 있는 송산리 고분군 내의 전시실은 5호분, 6호분, 무령왕릉(7호분)의 내부를 재현해 놓았고,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전에는 무령왕릉을 실제로 들어가서 그 내부를 봤는데 붕괴 위험이 있어서 2007년(?) 부터는 왕릉 내부 관람을 금지시켰고, 이렇게 전시실로 재현해 놓았다고 합니다. (평점 4*)




Interior of King Muryeong's Tomb

The exhibit hall in the Songsan-ri Ancient Tombs, which looks like ancient tombs, recreates the interior of Tomb No. 5, Tomb No. 6, and King Muryeong's Tomb (Tomb No. 7) and displays various relics excavated from King Muryeong's Tomb. In the past, you could actually go into King Muryeong's Tomb and see its interior, but due to the risk of collapse, viewing the inside of the royal tomb was prohibited starting in 2007(?). (Review 4*)


다음은 공주 무령왕릉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인 공주 박물관입니다
Next stop is the National Gongju Museum, a 10-minute walk from Tomb of King Muryeong.


국립 공주 박물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이용 시간: 09시 ~ 18시
입장료, 주차요금 : 무료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국립 공주 박물관은 송산리 고분군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뿐 아니라 대전 충남지역에서 출토된 특히 백제, 웅진시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소장 중인 유물 30,000여 점이 있는데 이 가운데 국보는 18점, 보물은 4점이라고 합니다. (평점 4*)


National Gongju Museum
34 Gwanghwadanji-gil, Gongju-si, Chungcheongnam-do
Hours: 9 A - 6 P
Admission: Free
Closed days: Every Monday, January 1, Lunar New Year’s Day, Chuseok

The National Gongju Museum displays relic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Songsan-ri area including King Muryeong's tomb as well as relics from the Daejeon and Chungcheong-do regions. There are over 30,000 relics in the collection, of which 18 are national treasures and 4 are treasures. (Review 4*)


진묘수 (Jinmyosu)

진묘수는 무덤을 지키는 짐승 모양의 상을 뜻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무령왕릉에서 발견되었고 그래서 진묘수는 다른 박물관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유물입니다.


Jinmyosu refers to a statue in the shape of an animal that guards a tomb. In Korea, it is said to have been discovered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it is a unique relic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museums.


왕관꾸미개 (Crown Ornament)

관꾸미개는 화려하면서도 디테일한 금세공 기술이 무척 인상적입니다. 고급스럽지만 전혀 사치스럽지 않은 디자인이었어요. 거의 순금인 금판을 얇게 편 다음 오려서 무늬를 만든 것이 불꽃을 보는 듯 생동적입니다.

무령왕 금제관식(국보 제154호)

The crown ornaments are impressive with their gorgeous and detailed goldsmithing. They are luxurious but not extravagant designs. The patterns are made by cutting out thin, almost pure gold plates, giving them a vivid look as if you were looking at flames.


베개와 발받침(왕)

왕과 왕비의 베개와 발받침은 모두 나무로 만들었다. 형태는 역사다리형이며 가운데 부분을 베개는 U자, 발받침은 W자 모양으로 홈을 파내 머리와 양발을 올려 시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나무 표면에는 검은 옷칠을 한 뒤 그 위에 얇은 금판으로 6각형 거북등무늬를 만들고, 무늬와 금판이 만나는 모서리에 각각 금꽃을 장식하여 상당히 화려하다.


The king and queen's pillows and footrests are both made of wood. They are in the shape of a leg bridge, with a U-shaped hole in the middle for the pillow and a W-shaped hole for the footrest, so that the head and both feet can be raised to secure the body. The wooden surface is lacquered in black, and a hexagonal turtle shell pattern is made on it with a thin gold plate, and the corners where the pattern and the gold plate meet are decorated with gold flowers, making it quite splendid.


무령왕릉에서 일본과 관련이 있는 대표적 유물은 무령왕과 왕비의 나무 관입니다. 목관을 만든 목재는 습기에 강하고 단단한 ‘’금송’이라는 소나무인데 일본 남부의 고지대에서만 자생하는 최고급 목재이다.


The most representative relics related to Japan in the Muryeong Royal Tomb are the wooden coffin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The wood used to make the coffin is the Japanese umbrella-pine tree which is strong and moisture-resistant. It iis the highest quality wood that grows only in the highlands of southern Japan.


국립 공주 박물관에 있는 지석은 매지권(買地券)입니다. 다시 말해서 장례를 치를 때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땅을 매입한다는 문서를 작성하여 돌에 새겨 넣은 것입니다. 무령왕릉 지석 앞면에는 백제 사마왕(무령왕)이 62세 되던 해에 죽어 묘에 안장하며 매지 문서를 작성한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 지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무덤의 주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없음)

The memorial stone in the National Princess Museum is called the Meijikwon (purchase agreement). During a funeral, a document was written to the earth god to purchase land to be used as a grave and was engraved on a stone. On the front of King Muryeong's tomb stone, there is an inscription stating that King Sama (King Muryeong) of Baekje died at the age of 62, was buried in the tomb, and the purchase agreement was prepared for his burial.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one, the owner of the tomb have been identified. (No pictures)


박물관에 있는 다른 유품들:
Other collections in the museum:



서혈사지 석불좌상
Seated Buddha found at Seohyeolsa Temple Site



야외 전시장에 있는 머리 없는 불상 이외에도 삼국시대-조선시대 석조 문화재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In addition to the headless Buddha statues in the outdoor exhibition hall, large collection of historically significant stone object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Joseon Dynasty are also on display.

백제 문화단지로 이동 중 백제궁수라간에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We had lunch at Baekje Suragan on the way to Baekje Cultural Complex.

백제궁수라간
충남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555
영업시간: 10:30 - 21:00 (매달 1, 3 수요일 휴무)

불고기 연잎밥 (20,000원)과 떡갈비취나물밥 (20,000 원) 반상을 주문해서 먹었는데 여러가지 신선한 밑반찬과 나온 떡갈비 그리고 황태구이도 나오네요. 떡갈비는 특별한 것은 없었지만 맛은 있었어요. 불고기도 연한 것이 맛 있게 먹었습니다. 그리고 연잎에 쌓여있는 건강 밥을 맛있게 먹었습니다






Baekjegungsuragan
555 Baekjemun-ro, Gyuam-myeon, Buyeo-gun, Chungcheongnam-do
Hours: 10:30 A - 9 P (Closed on the 1st and 3rd Wednesdays of every month)

We ordered bulgogi lotus leaf rice ($14.50) and tteokgalbi chwinamul rice ($14.50). Various fresh side dishes with grilled pollack are served with tteokgalbi. The tteokgalbi was nothing special, but it was tasty. The bulgogi was tender and delicious. And we enjoyed the healthy rice wrapped in lotus leaves.


옆에 부여생활박물관, 미니버스, 장독대 등 다른 볼 것들 이 있습니다.




There are other things to see next to it, such as the Buyeo Living Museum, minibus, and Jangdokdae.

평점 (Review)

4* - 다시 방문할 것 (Will visit again)
3* - 부근에 있다면 (if in the area)
2* - 글쎄요 (probably not)
1* - 별로 (forget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