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October 17, 2025

남한 일주 구일째날: 병산서원과 부석사 (Trip Around South Korea Day 9: Byeongsan Seowon and Buseoksa Temple)

기록된 평점(최고 4*)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가격은 저희들이 방문 했을때의 가격입니다.

Review (highest 4/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s liking and the price shown is that of when we visited.


병산서원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번지
관람시간 : 9:00 - 18:00 (하절기), 9:00 - 17:00 (동절기)
관람료 : 무료
주차료 : 무료

1572년 서애 류성룡이 지금 이 자리에 서원을 옮기고 제자들이 서애의 학덕을 흠모하여 존덕사를 지으면서 서원이 되었고 철종대 병산서원의 사액을 받았고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다행이 보존된 병산서원. (평점 4*)



Byeongsan Seowon
30 Byeongsan-ri, Pungcheon-myeon, Andong-si, Gyeongsangbuk-do
Hours: 9 AM - 6 PM (Summer), 9 AM - 5 PM (Winter)
Admission: Free
Parking: Free

In 1572, Seoae Ryu Seong-ryong relocated his seowon (Confucian Academy) to its current site. His disciples, admiring his scholarship and virtue, established the seowon by building Jondeoksa Temple.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the academy received the royal title of Byeongsan Seowon and fortunately survived the Daewongun's order to abolish the seowon. (Review 4*)


안동 병산서원은 우리나라 서원 건축의 백미로 평가되며 그 정점이 바로 만대루이다. 벽면없이 기둥위에 지붕을 올린 정면 7칸, 측면 2칸의 누각인 만대루는 자연과 하나 되는 건물이다. 목재는 나무가 자란 그대로의 모양을 살려서 사용하여 인공(人工)이 가해진 맛을 줄였으며 다듬지 않은 주춧돌을 그대로 사용하고 장식과 기교도 없이 꼭 필요한 요소만 갖추고 건축했다고한다.




Andong Byeongsan Seowon is considered the pinnacle of Korean seowon architecture, and its pinnacle is Mandaeru (만대루). With a roof built on pillars without walls, Mandaeru is a seven-bay pavilion with two bays on the side, blending seamlessly with nature. The wood was used preserving the natural shape of the trees, minimizing the man made appearance. The building was constructed using uncut stones as the foundation, devoid of decoration or craftmanship, and featuring only the essential elements.


유생들을 가르치는 입교당 좌우에 서재와 동재 (기숙사)가 있고, 정면에 7칸이나 되는 만대루가 가로막고 있어 답답할 듯하나 전혀 그렇지 않다. 입교당에서 만대루 너머를 바라보면 마치 7폭 병풍의 그림을 보는 듯하다



There are the West Quarter and East Quarter (dormitories)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Ipgyodang (class room), respectively. The East Quarter and West Quarter and the seven-bay Mandeoru seem to create a sense of enclosure by blocking the view.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Looking beyond the Mandeoru from the Ipgyodang, the building resembles a seven-panel folding screen.


부용대 (Buyongdae)

부용대는 “연꽃을 내려다보는 언덕”이라는 똣이다. 이곳에서 내려다보면 하회마을이 물 위에 떠 있는 한송이 연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Buyongdae means "the hill overlooking the lotus flowers." Its name comes from the fact that when viewed from here, Hahoe Village appears like a single lotus flower floating on the water.


부석사 식당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17

점심 해결차 들린 곳이 부석사 식당이었습니다. 정식은 2인분 이상이라고하여 간고등어 정식(14,000/1인)을 주문했습니다. 다양한 나물들과 청국장이 나오는데 제가 청국장을 못 먹는데도 된장 맛이 거의 더 많이 나서 맛있게 먹었어요. (평점 3*)




Buseoksa Restaurant
317 Buseoksa-ro, Buseok-myeon, Yeongju-si, Gyeongsangbuk-do

We stopped by Buseoksa Restaurant for lunch. They said the set menu was for at least two people, so we ordered the dried mackerel set ($9.90/person). It came with various vegetables and cheonggukjang (fermented soybean paste stew). Even though we don't particularly like cheonggukjang, it was more like doenjang stew and we enjoyed it. (Review 3*)


미소머금고
경북 영주시 봉현면 소백로 1727

고구마빵은 어떤 것인가하는 호기심에 들렸는데 상점 안은 카페같이 재미있게 장식되어있고요 넓은 주차장도 있습니다. 황토 고구마빵은은 재료의 81%가 고구마이고 무방조제, 칼로리가 일반 빵의 절반인 건강 식품이네요. 원래 고구마를 좋아하기도하지만 간식으로 먹기에 아주 적당합니다. 이것 저것 (황토고구마 (3,000원), 녹차고구마파이 (1,800원), 고구마카스테라 (6,000원), 4호세트 (13,000원)) 사가지고 남은 여행하면서 먹었습니다.(평점 3*)






Misomergumgo
1727 Sobaek-ro, Bonghyeon-myeon, Yeo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We stopped by out of curiosity to see what sweet potato bread was like. The store's decoration was a fun and interesting looking and there was a spacious parking lot. The ingredient of Hwangto Sweet Potato bread is 81% sweet potato with no preservatives, and is a healthy food with half the calories of regular bread. We love sweet potatoes, and this is perfect for a snack. We bought yellow sweet potato ($2.10), green tea sweet potato pie ($1.30), sweet potato castella ($4.20), set of 4 ($9.15) and ate them during the rest of our trip.(Review 3*)


희방폭포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죽령로1720번길 278

소백산 기슭에 자리한 희방폭포는 소백산맥의 최고 봉우리인 비로봉(1,439m)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다. 소백산의 영봉인 연화봉에서 발원하였으며 높이 28m로 내륙지방에서 가장 큰 폭포이자, 영남의 제 1폭포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학자 서거정 선생이 하늘이 내려주신 꿈속에서 노니는 곳이라 할 정도로 우렁찬 소리와 그 비경이 아름답다. (평점 3*)



Heebang Falls
278 Jukryeong-ro 1720beongil, Punggi-eup, Yeongju-si, Gyeongsangbuk-do

Nestled at the foot of Mount Sobaek, Huibang Falls lies on the path leading up to Birobong (1,439m), the highest peak in the Sobaek Mountains. Originating from Yeonhwabong Peak, the mountain's sacred peak, Huibang Falls with a height of 28m is the largest waterfall inland and the premier waterfall in Yeongnam. Its roaring sound and breathtaking scenery are so breathtaking that the Joseon Dynasty scholar Seo Geo-jeong once described it as a heavenly dream come true. (Review 3*)


부석사
입장시간 : 해 있는 시간
입장료 : 성인 2,000원 / 중고생 1,500원 / 초등학생 1,000원
주차비 : 무료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대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입니다.
 



Buseoksa Temple
Hours: Daylight hours
Admission: Adults $1.40 /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06 / Elementary School Students $0.70
Parking: Free

Buseoksa Temple is a Hwaeomjong temple built by Uisang in 676 AD (the 16th year of King Munmu's reign) by royal order.


안양루/Anyangnu Pavilion

안양루는 무량수전 앞마당 끝에 위치한 누각입니다. 난간 아랫부분의 편액은 "안양문", 위층 마당 쪽은 "안양루"라고 씌여 있으며 문과 누각의 2가지의 기능을 부여한 것입니다. 극락이란 뜻을 가진 '안양'의 안양문은 극락 세계에 이르는 입구를 상징한다. 고로, 극락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지나면 극락인 무량수전이 위치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입니다.


Anyangnu is a pavilion located at the end of the front yard of Muryangsujeon Hall. The plaque below the railing reads "Anyangmun," while the plaque on the upper courtyard reads "Anyangru." Its dual functions include both a gate (lower) and a pavilion (upper). The “Anyang” of Anyangmun means "paradise” and Anyangmun symbolizes the entrance to paradise. Therefore, passing through the gate to paradise leads to Muryangsujeon Hall, the ultimate paradise.


무량수전/Muryangsujeon Hall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 또한 배흘림 기둥으로도 유명합니다. (배흘림기둥은 기둥의 허리부분을 가장 지름이 크게 하고 기둥 머리와 기둥 뿌리로 갈수록 줄인 항아리 모양의 기둥을 말한다. 서양권에선 엔타시스(entasis)라고 부른다.)


Muryangsujeon Hall, along with Geungnakjeon Hall at Bongjeongsa Temple in Andong, is one of the oldest wooden buildings remaining in Korea, making it a crucial building for the study of ancient temple architecture. It is also famous for its curved pillars. (A sculpted column is a jar-shaped column with the largest diameter at the waist and tapering toward the capital and base. In the West, it's called an entasis.)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상
무량수전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

소조(塑造) 불상은 목재로 뼈대를 제작한 후 흙을 빚어 만든 다음 금박을 덧입혀 금칠을 한 불상이다. 소조 불상이라는 조형 자체만으로도 우리나라에는 흔치 않은 형태인데 특히 이 불상은 높이 2.8 m로 현존하는 소조 불상들 중에서도 가장 크고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이라 가치가 매우 높아 유일하게 국보에 지정됐다.


Buseoksa Temple Seated Buddha
A Buddhist statue enshrined in Muryangsujeon Hall.

A sculpted Buddha statue is made by molding clay onto a wooden frame, then covering it with gold leaf and lacquering. The sculpted Buddha made with clay itself is a rare form in Korea. This statue, at 2.8 meters tall, is the largest and oldest of all extant sculpted Buddha statues and is so valuable that it is the only one designated a National Treasure.


청풍도담
충북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54길 14-9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벚꽃행사가 있어 주차도 힌들었고 거의 모든 식당이 만원에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 이곳이 손님도 적고 한식 뷰폐 (10,000 원/어른)가 궁금해 들렸습니다. 반찬들, 고기, 잡채 등 종류들도 많은 것이 한끼 때우기에는 충분 했습니다. (평점 3*)






Cheongpungdodam
14-9 Cheongpungho-ro 54-gil, Cheongpung-myeon, Jecheon-si, Chungcheongbuk-do

It was a wrong day to be in Jecheon. It was having a cherry blossom festival and it took a long time to find a parking spot. Almost all the restaurants were full and the wait time was horrendous. So, we stopped by here because there weren't many customers and we were curious about the Korean food buffet (10,000 won/adult). The variety of side dishes, meat, and japchae (stir-fried noodles) was more than enough for a full meal. (Review: 3*)


클럽 이에스 제천 리조트
수산면 옥선봉로 1248

시내에서 저녁 먹고 벚꽃행사 구경하고 늦게 호텔에 돌아와 잠만 자고 퇴실했으니 별로 평할 수 있는 것이 없네요. 그래도 잠은 편하게 잤습니다.


Club ES Resort
1248 Oksunbong-ro, Susan-myeon, Jecheon-si, Chungcheongbuk-do,

Since we returned to the hotel late after having a dinner and watching the cherry blossom festival, we just slept for a early check out. We don't have much to comment about the our stay, but we slept well.


평점 (Review)

4* - 다시 방문할 것 (Will visit again)
3* - 부근에 있다면 (if in the area)
2* - 글쎄요 (probably not)
1* - 별로 (forget it)





Sunday, October 12, 2025

남한 일주 팔일째날: 양동마을과 주왕산 공원 (Trip Around South Korea Day 8: Yangdong Folk Village and Juwangsan Park )

기록된 평점(최고 4*)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가격은 저희들이 방문 했을때의 가격입니다.

Review (highest 4/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s liking and the price shown is that of when we visited.


양동마을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길 93
입장시간: 9:00 - 19:00 (4월 - 9월) 9:00 - 18:00 (10월 - 3월)
입장료: 4000원/어른

전통 민속마을 중 가장 큰 규모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집성촌으로 손(孫), 이(李) 양성이 서로 협조하며 500여년의 역사를 이어온 마을입니다. 마을의 산세와 지세가 명당 중의 명당이라 예로부터 재물과 인재가 모여들었다 한다. 조선시대의 상류주택을 포함하여 500년이 넘는 고색창연한 54호의 고와가(古瓦家)와 이를 에워싸고 있는 고즈넉한 110여 호의 초가로 이루어져 있다. 양반가옥은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낮은 지대에는 하인들의 주택이 양반가옥을 에워싸고 있다.

마울 안에는 차량 통행이 금지 되어있어 아름다운 풍경과 낮은 토담길 사이를 걸으며 긴 역사의 향기를 감상할 수 있는 마을 입니다. 학교도 기와 한옥으로 지어졌는데 1909년에 양좌학교로 설립인가 받고, 1913년에 양동 공립 보통학교로 개교한 무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학교 입니다

안동의 하회마을과 함께 한국의 역사마을로 지난 2010년 8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평점 3*)

입구 벽면의 벽화
Murals on the walls at the entrance


School/학교

초가집/thatched roofed houses

향단 - 주생활의 합리화를 위해 일반적 격식에서 벗어난 형식으로 지은 기와집
Hyangdan - a tile-roofed house built in a style that deviates from the usual formalities to rationalize the main house's lifestyle.

기와집/tile roofed houses

심수정/Simsujeung Pavilion



Yangdong Folk Village
93 Yangdongmaeul-gil, Gangdong-myeon, Gyeongju-si, Gyeongsangbuk-do
Opening Hours: 9 AM - 7 PM (April - September), 9 AM - 6 PM (October - March)
Admission: $2.85/Adult

Among the largest and most historic traditional folk villages in Korea, Yangdong Village is a typical clan village (with the same family name), established over 500 years ago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Son and Lee clans. The village's geography and topography are considered auspicious, attracting wealth and talent since ancient times. It consists of 54 ancient tile-roofed houses, including those of the upper class from the Joseon Dynasty, and approximately 110 thatched-roof houses surrounding them, creating a tranquil atmosphere. The nobleman's houses are located on high ground, surrounded by servants' residences on lower ground.

Since vehicle traffic is prohibited inside the town, this village offers a walk along the low earthen walls and allows visitors to appreciate its long history and beautiful landscape. The school was even built in a tiled-roofed hanok and it boasts a history spanning over 100 years. It was approved as Yangjwa School in 1909 and opened as Yangdong Public Elementary School in 1913.

Along with Andong's Hahoe Village, it was designated a World Heritage Site in August 2010 as one of Korea's historic villages. (Review 3*)


백리향식당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길 138-1

마을을 돌다 보니 배도 고프고 지나가다 본 메뉴가 눈길을 끄네요. 연세드신 두분이 운영하시는 식당 인데 시골 마당에서 먹는 것이 옛날 할머니 집에 온 것 섵았습니다. 해물 부추전은 바삭하게 구워졌고 맛있네요. 묵도 할머니 손길이 간 음식 생각나게 하더군요. (평점 4*)




Baekrihyang Restaurant
138-1 Yangdongmaeul-gil, Gangdong-myeon, Gyeongju-si, Gyeongsangbuk-do

Wandering around the village, we were hungry and the menu at Baeknhyang caught our eyes. It's a restaurant run by two elderly people, and it felt like visiting the grandmother’s home and having a feast in the courtyard. The seafood chive pancake was crispy and delicious. The Mook (jelly) also reminded us of the food our grandmother used to make. (Review 4*)


주왕산 공원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169-7
입장료: 무료
주차비: 4,000원/승용차

매표소를 지나면 바로 앞에 대전사라는 절이 나온다. 대전사는 신라 문무왕 12년 의상대사 창건했던 신라불교의 전통사찰이라고 한다. 본래 매우 큰 절이었으나 여러 화재로인해 절의 규모가 많이 줄었다고 한다. 그 뒤로 우뚝 서 있는 봉우리가 바로 주왕산을 상징할 수 있는 기암(旗岩)이다. 주왕산은 화산폭발로 인해 형성 됐었다고 하는데 화산재가 굳어진 응회암이 대표 암석이며, 응회암으로 된 봉우리를 기암이라 한다. (평점 4*)

대전사와 주왕산 기암
Daejeonsa Temple and Juwangsan Rock Formations



Juwangsan Park
169-7 Gongwon-gil, Juwangsan-myeon, Cheongsong-gun
Admission: free
Parking: $2.80/Car

After passing the ticket booth, you'll immediately see Daejeonsa Temple. Daejeonsa Temple is a traditional Silla Buddhist temple founded by Great Monk Uisang in the 12th year of King Munmu's reign. It was originally a very large temple, but its size was greatly reduced due to numerous fires. The summit you see behind the temple is Giam, a symbol of Juwangsan Mountain. Juwangsan Mountain is said to have been formed by a volcanic eruption, and it is made of volcanic tuff, the hardened volcanic ash. Peaks made of tuff are called Giam. (Review 4*)

주왕산 안으로 이어지는 길 옆에 기암복제형이 있으니 봉우리까지 올라기지 않고 사진 한장.


There's a replica of this rock formation next to the path leading into Juwangsan Mountain.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take a picture without climbing all the way to the peak.


그리고 길을 따라가다 보면 길옆 냇가에 큰 바위가 하나 있는데 이름하여 아들바위란 것이다. 왼팔로 던진돌이 그 바위에 얹히게 되면 생남을 한다는 전설이 있어서인지 작은 돌들이 뙈 쌓여있네요.


Continuing the trail, you'll come across a large rock in the stream beside the road, named Sonbawi (Adleobawi). There's a legend that says if a stone thrown with your left arm lands on the rock, you'll have a son. There must be a lot of people wishing for a son by looking at the many small stones piled up on the rock.


학소교를 건너면 거대한 협곡 사이를 철제다리를 따라 걸어가는 길이 그려낸 풍광이 신비롭습니다.

용추협곡/Yongchu Valley

용추폭포/Yongchu Fall

Crossing Haksogyo Bridge, the trail along the iron bridge through the gorge with high walls creates a mystical landscape.


주왕산 아름다움에 너무 시간을 보내 이곳에서 발길을 돌렸습니다.
We spent too much time admiring the beauty of Juwangsan Mountain, so we decided to turne back here.


자하교를 건너 300m쯤 올라가면 통일신라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주왕암이 있습니다. 주왕암에서 나한전 뒤로 뚫린 바위 절벽길을 1백여 미터 오르면 비좁은 철 사다리가 나오는데, 이 사다리 위쪽에 주왕굴이 있다. 신라 군대를 피해 숨어 있던 주왕이 어느 날 절벽에서 떨어지는 물로 세수를 하다 화살에 맞아 숨을 거뒀다는 곳이다.



Crossing Jaha Bridge and climbing about 300 meters, you reach Juwangam Hermitage. It is guessed to have been founded by Great Monk Uis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From Juwangam, climb the rocky cliff path behind the Nahanjeon Hall for about 100 meters to reach a narrow iron ladder. At the top of this ladder is Juwanggul Cave. It's said that King Ju, hiding from the Silla army, was struck by an arrow and died while washing his face with water falling from the cliff.


저녁노을에 종을 치시는 스님의 모습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The sight of a monk ringing the bell in the sunset is truly beautiful.



참고: 들어가는 길이 꽤 먼데 상가들이 너무 많아 산으로 가는 듯한 고요함은 즐길 수가 없네요.


Note: The road leading in is quite long, and there are so many stores that it is difficult to enjoy the tranquility of going into the mountains.

주왕산은 편의 시설도 잘 되어있고 주위 경치가 너무 이뻐 다시 가고푼 곳 입니다.
The surrounding scenery at Juwangsan Mountain is so beautiful and the facilities are well maintained and we would love to go back there again.


주왕산 청솔식당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164

두부를 직접 만든다는 광고판을 보고 이 식당을 찾았습니다. 순두부찌개 (12,000원)과  산더덕구이 (30,000원)을 주문했는데 직접 만든 순두부는 정말 오래간만에 먹어보았던 맛이었습니다. 가까운데 있으면 매일 갈것 같네요. 메밀전을 서비스로 주셨는데 맛있었어요.(평점 4*)




Juwangsan Cheongsong Restaurant
164 Gongwon-gil, Juwangsan-myeon, Cheongsong-gun, Gyeongsangbuk-do

We decided to try this restaurant after seeing a sign advertising homemade tofu. We ordered soft tofu stew ($8.40) and grilled mountain radish ($21.00). It has been long time that we had a chance to taste the homemade soft tofu. If we live by, we would visit it every day. They offered buckwheat pancakes as a service, which were delicious. (Review 4*)


브라운도트 안동 풍산점
경북 안동시 풍산읍 풍산태사로 1023-6

개장한지 얼마 안돼서인지 건물과 방은 깨끗했고 방이 크지는 않았지만 잠자리는 편하게 지냈습니다. 조식은 아주 간단하게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주차 공간이 좀 작은 편입니다. (평점 4*)


Brown Dot Hotel
1023-6 Pungsantaesa-ro, Pungsan-eup, Andong-si, Gyeongsangbuk-do

We heard the hotel was opened not that long ago, and the building and rooms were clean. While the rooms weren't large, the beds were comfortable. Breakfast was very simple. There are limited parking space for the hotel. (Review 4*)


평점 (Review)

4* - 다시 방문할 것 (Will visit again)
3* - 부근에 있다면 (if in the area)
2* - 글쎄요 (probably not)
1* - 별로 (forget it)





Tuesday, September 30, 2025

남한 일주 일곱째날: 농소 몽둘해수욕장, 대왕암 공원, 태화강 국가정원 (Trip Around South Korea Day 7: Nongso Pebble Beach, Daewangam Park, and Taehwagang National Garden)

기록된 평점(최고 4*)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가격은 저희들이 방문 했을때의 가격입니다.

Review (highest 4/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s liking and the price shown is that of when we visited.


호텔에서 준비한 한식 아침으로 배를 채우고 오늘 하루 일정을 떠납니다.
We were off to the today's sightseeing after filling our stomachs with a Korean breakfast prepared by the hotel



농소 몽돌해수욕장

해변의 바위 조각들이 파도와 조류에 의해 끊임없이 움직이며 서로 부닺히는 과정에서 바위의 날카로운 모서리들이 깎여나가고 닳아 없어지면서 점차 둥글고 매끄러운 모양이 됩니다. 이 몽돌들이 해변에 모여 몽돌 해변을 형성합니다. 파도가 돌을 굴리며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내는데 이 소리가 우리나라 자연소리 100선에도 선정되었다고 하는데 유감스럽게도 들어 보질 못했네요.

농소 몽돌해수욕장은 2km 길이의 몽돌 해수욕장으로, 거제도에서 가장 긴 몽돌 해변 중 하나입니다. 저희는 해보지 않았지만 맨발로 걸으면 몽돌 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하네요. 날씨가 개였다면 경치가 더 아름다웠을텐데 아쉽네요. (평점 3*)




Nongso Pebble Beach

The rocks on the beach are constantly being moved and rubbed against each other by waves and currents, eroding their sharp edges and gradually becoming rounded and smooth. These pebbles gather on the beach, forming the pebble beach. The waves roll the pebbles and creat a beautiful sound that's said to have been selected as one of Korea's 100 Natural Sounds. However, unfortunately, I wasn't able to hear it.

Nongso Mongdol Beach is a 2km-long pebble beach, one of the longest on Geoje Island. We have not tried, but it's said that walking barefoot on the beach will provide a relaxing massage. The scenery would have been even more beautiful had the weather been clearer. (Review 3*)


김해 휴게소/Kimhae Rest area



소분행
경남 울산 동구 등대6길 5

대왕암 가는길에 간단히 점심 먹을 곳을 찾다 들린 곳입니다. 식당은 자그마한했지만 "소소한 분식 행복한 한끼" 라는 이름같이 불고기김밥 (5,000원), 통새우김밥 (5,000원), 라면 (4,500원)을 맛있게 먹은 점심 이었습니다.



Sobunhaeng
5 Deungdae 6-gil, Dong-gu, Ulsan, Gyeongnam

We stopped by this place for a quick lunch on the way to Daewangam. The restaurant was small, but true to its name, "A Small Snack, a Happy Meal", we enjoyed a delicious lunch of bulgogi kimbap ($3.60), whole shrimp kimbap ($3.60), and ramen ($3.20).

독고 노인들을 위한 천사 무료 급식소를 후원하는 따뜻한 가게이네요.


It's a store with heart that supports the Angel Free Meal Center. The center provides the meals for seniors who live alone.


대왕암 공원
울산광역시 동구 등대로 100
입장료: 무료
주차 요금: (최초 30분 500원 /이후 10분 당 200원씩 추가 요금 발생)

대왕암 공원은 울기등대와 대왕암, 용굴, 탕건암 같은 기암괴석, 수령 100년이 넘는 아름드리 해송 1만 5천 그루가 어우러져 울산을 상징하는 쉼터 구실을 한다. 울산의 끝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울기등대는 1906년 동해안에서는 처음 세워진 높이 6m의 등대입니다. 용추암 또는 댕바위라고도 불리는 대왕암은 신라시대 문무왕의 왕비가 죽어서도 호국룡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 하여 바위섬 아래에 묻혔다는 전설이 있고 육지에 있는 바위와 철교로 연결된다. (평점 4*)

대왕암까지는 출렁다리를 건너 해안 산책로를 따라 가는 길이 있으며 출렁다리 건너기가 힘들면 수령 100년 이상의 소나무가 우거진 송림길을 따라 대왕암으로 갈 수 있습니다.

팁: 해외 카드로는 주차 요금 결제가 안되니 사무원과 통화하신 후 현금 결제하여야 합니다.



Daewangam Park
100 Deungdae-ro, Dong-gu, Ulsan, South Korea
Admission: Free
Parking: ₩500 for the first 30 minutes / ₩200 for each additional 10 minutes

Daewangam Park is home to Ulgi Lighthouse, Daewangam Rock, Yonggul Cave, and Tanggeonam Rock, along with 15,000 majestic pine trees over 100 years old. Ulgi Lighthouse, meaning "the end of Ulsan," stands 6 meters tall and was the first lighthouse built on the east coast in 1906. Daewangam Rock, also known as Yongchuam Rock or Daengbawi Rock, is said to be the burial sire of a queen of King Munmu of the Silla Dynasty who vowed to become a guardian dragon and protect the nation even after death. (Rating: 4*)

You may travel to Daewangam Rock following the coastal trail after crossing the suspension bridge. If the suspension bridge is too difficult for you to cross, a forest path lined with pine trees over 100 years old also leads to Daewangam Rock.

Tip: Parking fees cannot be paid with foreign bank credit cards. You must speak to a clerk and pay in cash.


대왕암공원 출렁다리
운영시간: 9:00-18:00 (17:40에 입장 종료) (휴장: 화요일)
입장료: 무료

대왕암 출렁다리는 2021년 6월에 준공되었으며, 길이 303m, 보행폭 1.5m, 높이 42.55m 의 현수교이다. 다리는 바다 위에 만들어져 다리 위에서 보는 대왕암 주변의 해안 비경은 멋있습니다. 을 즐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출렁다리는 일방 통행이기 떄문에 한번 진입하시면 돌아 나올 수 없습니다.


해안을 따라 펼쳐진 크고 작은 바위들은 사금을 채취하였다 하여 '사금 바위'라고하며 대왕암 해녀가 직접 채취하는 자연산 해산물을 맛볼 수 있는 곳입니다.

The large and small rocks along the coast are called "Gold Plaster Rocks" because the gold was harvested around the rocks. Here, you can also savor wild seafood harvested directly by the Daewangam haenyeo (female divers).


Daewangam Park Suspension Bridge
Opening Hours: 9:00-18:00 (Last admission at 17:40) (Closed: Tuesdays)
Admission: Free

The Daewangam Suspension Bridge, completed in June 2021, is a suspension bridge measuring 303 meters long, 1.5 meters wide, and 42.55 meters high. Built over the sea, the bridge offers breathtaking views of the surrounding coastal area. However, the suspension bridge is one-way, so once you enter, you can't turn back.


유채꽃밭으로 가는 해안길 포토존에서 본 대왕암
Daewangam seen from the photo zone on the coastal trail leading to the rapeseed flower field



유채꽃밭

직원께서 추천하시기를 지금 유채꽃이 만발했다고 알려 주셔서 꽃밭을 지나 주차장으로 돌아오는 길이 먼길이라 조금 주저했지만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교육 연수원 둘레길을 따라 가면 푸른 바다와 잘 어우러진 노란 유채꽃밭이 나옵니다. 해안둘레길을 따라 가면 슬도 등대까지 갈 수 있습니다.



Rape Flower Field

The staff recommended visit the rape flowers since they are in full bloom. We hesitated a bit because the walk back to the parking lot through the field was a bit long, but we were glad that we gave it a try. Following the old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trail, you'll come across a field of yellow rape flowers, beautifully contrasting with the blue sea. Following the coastal trail, you can also reach Seoldo Lighthouse.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입장시간: 24시간 (안내센터: 9:00 - 18:00)
입장료: 무료
주차비: 2,000원/2시간

2019년 순천만에 이어 두번째 국가정원으로 지정되면서 태화강 국가정원이라는 정식 명칭을 얻게 되었습니다다. 태화강 국가정원은 생태하천 태화강을 끼고 있는 도심 속 친환경 생태정원입니다. 태화강 국가정원 1 주차장에 주차했는데 정원 관람과 저녁식사 하기에 편리 하였습니다. 밤에 들렸기에 주변 경치를 두루 볼수는 없었지만 제반 시설은 잘 되어 있는 것 같았습니다. (평점 3*)




Ulsan Taehwagang National Garden
Hours: 24 hours (Information Center: 9 AM - 6 PM)
Admission: Free

Taehwagang National Garden received its official name as it was designated as the second national garden after Suncheon Bay in 2019. It's an eco-friendly, urban garden nestled along the Taehwagang River, an ecological stream. Parking at Taehwagang National Garden Parking Lot 1 was convenient for viewing the garden and enjoying dinner after the visit. Since we stopped by at night, we couldn't fully appreciate the surrounding scenery, but the facilities seemed well-maintained. (Review 3*)


십리대숲

태화강 국가정원에는 여러가지 테마의 공간들이 많이 있지만 가장 유명한 곳이 십리대숲 입니다. 대나무 약 50만본이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나무숲 정원입니다. 태화강을 따라 십리(약 4km) 정도 걸쳐 펼쳐져 있어서 십리대숲이라고 한다고 하네요


은하수길

은하수길은 매일 일몰시간부터 23시까지로 운영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제대로 구경 하시려면 주위가 좀 더 어둑해질 때 들리세요. 그래도 전체적으로 어두워 사진 찍기에는 약간 힘듭니다.




Ten-ri Bamboo Grove

Taehwagang National Garden features many themed areas, but the most famous is the Ten-ri Bamboo Grove. With approximately 500,000 bamboo trees, it's the largest bamboo forest in Korea. Its name derives from its ten-ri (approximately 4km) stretch of Bamboo grove along the Taehwagang River.


Milky Way

Milky Way's operating hours are set from sunset to 11:00 PM daily. If you want to see it properly, stop by when it's a bit darker. The overall light of the trail is dim which makes it a bit difficult to take good photos.


태화강 강변따라 펼처진 벚꽃행렬
Parade of cherry blossom along the Taehwa River



풍당풍당
울산 중구 태화강국가정원길 127

국가정원 구경을 맞히고 저녁 먹을 곳을 찾다가 좀 색달라 보여 드린 풍당풍당 입니다. 얼큰샤브칼국수 (10,000원/1 인) 2인분을 주문했습니다. 샤브샤브 고기가 약간 질기긴 했지만 먹을만 했고 국수는 직접 만든 것이라 쫄깃쫄깃 한게 좋았음. 양이 많아 밥은 남길 것 같았는데 맛이 있어 다 먹었네요. (평점 4*)


국물이 팔팔 끓을 때 고기 넣고 다음에 국수 넣고 드세요
When the broth is boiling, add the meat and then add the noodles and eat.



Pungdang Pungdang
127 Taehwagang National Garden Road, Jung-gu, Ulsan

While looking for a place to have dinner after visiting the National Garden, we stumbled upon Pungdang Pungdang whose menu was very interesting. We ordered the Spicy Shabu Kalguksu ($7.20/person) for two. The shabu-shabu meat was a bit tough, but it was still good. The home made noodles were chewy and excellent. The portions were generous, so we thought we would have leftover rice, but it was so delicious we finished it all. (Review: 4*)


애쉬톤 호텔
울산 남구 중앙로213번길 8
방이 꽤 작은 편이나 필요한 물품들은 준비돼 있었고 편안하게 쉴 수 있었습니다. (평점 3*)

Ashton Hotel
8, Jungang-ro 213beon-gil, Ulsan
The room was quite small, but it had all the necessities we needed and we were able to rest comfortably. (Review 3*)



평점 (Review)

4* - 다시 방문할 것 (Will visit again)
3* - 부근에 있다면 (if in the area)
2* - 글쎄요 (probably not)
1* - 별로 (forget it)